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

출산혜택 총정리 신청방법 신청절차

 

출산율이 저조한 요즘 정부에서는 저출산을 벗어나기 위하여 여러 지원책들을 내놓고 있는데요. 이 글을 조금만 집중하여 못 받고 있는 혜택들이나 놓친 정보들을 링크나 설명을 통해 알아가 보시길 바랍니다. 

 

섬네일
출산혜택 총정리

 

출산혜택

 

1. 첫만남 이용권

  • 지원대상  :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 
  • 지원금액 : 200만 원 지급 (바우처형식으로 지급하며, 유흥·사행 업종 등 지급목적에서 벗어난 업종은 제외된다)
  • 지원방식 :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아 바우처로 구매가능한 물건을 자유롭게 구매할 수 있다. 
  • 신청방법 : 아동의 주민등록 상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신청. 복지로 또는 정부 24에 온라인 신청

※사용 종료일은 아동 출생일로부터 1년이며 사용기간 내 사용하지 않은 지급금 포인트는 자동 소멸입니다. 

※첫 만남 이용권은 출산 후 최초 1회로 지급되는 바우처로 출산 축하 및 초기 육아지원을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국민행복카드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국가바우처를 한장의 카드로 이용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 국민 누구나 신청가능하며 발급과 바우처 신청은 별개로 이루어집니다. (지원 서비스에 따라 지원대상과 자격이 다릅니다)

 

☞ 첫만남 이용권 신청하러 바로가기 (복지로)

☞ 첫만남 이용권 신청하러 바로가기 (정부 24)

☞ 첫 만남 이용권 사용처 조회 바로가기 

 

 

2. 부모급여

  • 지원대상 : 만 0세 ~ 만 1세가 되는 아동들에게 지원
  • 지원금액 : 만 0세 아동은 월 70만 원, 만 1세 아동은 월 35만 원을 지원 (2024년부터는 금액이 확대 만 0세 100만 원, 만 1세 50만 원으로 확대)
  • 지원방식 : 신청계좌로 매월 25일에 현금으로 지급함. 또한 어린이집을 이용 시 바우처로 지급함
  • 신청방법 : 아동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신청 또는 복지로, 정부 24, 누리집을 통한 온라인 신청.

 

※부모급여 신청은 친부모 인경우에만 가능하며, 또한 원스톱 서비서를 통해 출생신고와 함께 부모급여를 신청할 수 있다.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 만 0세와 만 1세 모두 51만 4,000원의 보육료 바우처를 받을 수 있다. 

※(만 0세는 부모급여가 바우처 금액보다 커서 차액인 18만 6000원을 현금으로 지급받게 된다. 

 

☞부모급여 신청하러 바로가기 (복지로)

☞부모급여 신청하러 바로가기 (정부 24)

 

 

3. 아동수당

  • 지원대상 : 만 8세 미만의 모든 아동 
  • 지원금액 : 아동 1인당 월 10만 원
  • 지원방식 : 현금입금 원칙 (시군구 조례로 정하는 경우 지역상품권으로도 지급가능)
  • 신청방식 :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복지로 신청.

 

※아동수당은 만 8세 미만(95개월)의 아동까지 지급된다. 

※매월 25일에 지급되며 주말이나 공휴일이 해당되면 그전 평일날에 지급이 된다. 

 

☞아동수당 신청하러 바로가기 (복지로)

☞만 나이 계산기 바로가기 

 

 

4. 지역별 출산지원금

 

출산지원금은 중앙정부가 아닌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역마다 지원 내용이 다릅니다. 

아래의 링크에 출산지원금을 지역별로 보기 쉽게 정리해놓았으니 해당지역을 찾아 지원방식과 지원금액 지

원대상을 확인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지역별 출산지원금 알아보기 (바로가기 클릭)

 

 

지역별 출산 장려금 순위 10위까지

지역별 1자녀 2자녀 3자녀
전남 고흥군 720만원 720만원 720만원
경북 봉화군 700만원 1,000만원 1,600만원
경북 울릉군 680만원 1,160만원 2,600만원
전남 영광군 500만원 1,200만원 3,000만원
전남 진도군 500만원 1,000만원 2,000만원
전남 광양시 500만원 1,000만원 1,500만원
충남 금산군 500만원  700만원 1,000만원
경북 의성군 440만원 920만원 1,600만원
경북 상주시 360만원 960만원 1,800만원
경북 영양군 360만원 540만원 1,200만원

 

저출산 대책으로 다양한 혜택들이 있으니 잘 알아보시고 많은 혜택 받으시길 바라며, 저출산으로 인한 정부의 지원은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라 전망되기에 더 좋은 소식 있으면 다음 포스팅으로 알려 드리겠습니다. 

 

산후조리원 100만원지원

 

산후조리원 100만원지원

서울시가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으로 임산부와 출산가정을 지원하기로 하였습니다. 바로 23년 9월 1일부터 소득기준 상관없이 모든 출산가정에 100만 원 산후조리경비를 지원한다고 발표

rigkgkt.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