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

청년월세특별지원 지원금 지급일

 

 

포스터
출처 - 국토교통부

청년들에게 월세지원금을 지원해 주는 청년월세특별지원금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청년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청년월세특별지원금이 무엇인가? 그리고 지원금, 지급일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청년월세 특별지원금이란? 

청년들이 학업 및 취업 준비 등 자신의 삶을 잘 꾸려나가는데 보탬이 되기 위하여 소득이 낮은 청년들을 대상으로 월세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사업을 지원받기 위해서는 소득여건이나 기타 자격을 갖춰야 지원을 받을 수 있는데요, 지원대상 자격요건등 이번 포스팅을 통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쳥년 월세 특별지원 신청하러 바로가기

 

포스터

 

 

지원대상 자격요건

지원대상
 

만 19세 ~ 34세의 저소득 독립 청년입니다. 지원시점으로 부모와 별도 거주하는 무주택 요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의 주택에 거주하여아 합니다. 

 

보증금 5천만원이 넘으면 지원이 안되지만 월세 60만 원 초과 시 '월세와 보증금의 월세환산액을 합한 금액이 70만 원 이하인 경우 지원이 가능합니다. (계산 법은 보증금 × 2.5% ÷ 12개월)

 

예를 들면 보증금 2천만 원에 월세 65 만원이라고 치면, (2천만 원 × 2.5% ÷ 12개월) + 65만 원 = 69만 원으로 70만 원을 넘지 않으므로 지원이 가능합니다. 

 

자격요건

 

월 최대 20만원까지 지원을 하며 총 12개월 분의 월세를 지원하니 최대 240만 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요건으로 청년가구 중위소득 60% 이하 원가구(부모) 중위소득 100% 이하의 소득요건을 갖추어야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청년가구 청년 본인과 배우자, 자녀를 말한다. 본인과 배우자의 부모, 형제자매 등 다른 가족이 청년과 함께 거주하는 경우에도 해당 가족은 청년가구에 포함이 됩니다.
  • 원가구 원가구는 청년가족과 부모만을 포함합니다. 

 

22년도, 23년도 중위소득 60%, 100% 기준표
22년 기준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7인
100% 1,944,812 3,260,085 4,194,701 5,121,080 6,024,515 6,907,004 7,780,592
60% 1,166,887 1,956,051 2,516,821 3,072,648 3,614,709 4,144,202 4,668,355
23년 기준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7인
100% 2,077,892 3,456,155 4,434,816 5,400,964 6,330,688 7,227,981 8,107,515
60% 1,246,735 2,073,693 2,660,890 3,240,578 3,798,413 4,336,789 4,864,509

 

재산 가액으로는 청년가구는 1억 7백만 원 이하여야 하며, 원가구(부모님)는 3억 8만 원 이하여야 자격이 갖춰집니다. 

 

링크
청년월세 자가진단 바로가기

지원기간 지급일 

2022년부터 2024년까지의 한시사업이며, 신청은 22년도 8월부터 23년도 8월까지 신청을 할 수 있으니 올해 8월이 끝나기 전 해당되시는 분들은 신청을 서둘러 주시기 바랍니다. 

 

지원금액 및 제외 대상

 

  • 실제 납부하는 월세의 범위 내에서 최대 20만 원씩 최대 12개월에 걸쳐 월별로 지급
  • 군입대, 90일을 초과하여 외국에 체류, 부모님과 합가, 전출 후 변경신청누락 등의 경우 지원 중단됨
  • 방학 동안 일시적으로 부모님 댁으로 거주지를 이전한 경우는 수급기간이 연속되지 않더라도 지원사업시행 기간 내라면 12개월 분의 월세롤 모두 지원받음
  • 월세부담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더 많은 혜택을 받도록 이미 지자체에서 청년월세지원 및 행복주택 입주자 등 정부의 주거비를 이미 지원받는 청년들은 이번 특별지원에서 제외된다. 

 

신청 및 지급

 

  • 2022년 8월 22일부터 1년간 자격요건이 충족되는 청년에 한하여 수시로 신청이 가능함
  • 신청자가 소득재산 조사로 인하여 손해를 보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신청한 달로 지원금을 소급지급함 

자세한 정보는 한국토지주택공사(1600-0777)이나 거주지 관할 지자체로 문의 바랍니다. 

신청방법은 마이홈포털이나 복지로 누리집에서 자가진단 후 미리 확인하고 신청을 하기 바랍니다. 

진단하는 복지로, 마이홈포털은 아래의 바로가기 링크를 통하여 갈 수 있습니다. 

 

청년월세지원 자가진단 바로가기 링크

자주 묻는 질문 Q&A

 
청년가구와 원가구의 범위는 어디까지인가요? 

 

  • 청년가구는 청년 본인과 배우자 및 자녀, 그 외 동일한 주소지에 거주하는 민법상의 가족까지 포함입니다.
  • 원가구는 청년가구에 부모(1촌 이내 직계혈족)를 포함합니다. 

 

부모 / 친척 소유의 주택에서 월세를 살고 있는데 지원 가능한가요? 

 

  • 할아버지, 외할아버지, 부모님, 형제, 자매 등 2촌 이내 혈족으로부터 임차한 주택은 독립한 경우라고 보지 않아 지원이 불가능합니다. 

 

반전세 혹은 하숙집, 기숙사 / 연세, 사글세도 지원되나요? 

 

  • 전세는 지원대상이 아닙니다. 
  • 반전세는 보증부월세로 인정되기 때문에 지원가능합니다. 
  • 하숙집, 기숙사, 회사 기숙사의 경우에도 대상에 포함됩니다. 
  • 연세, 사글세 형태의 임대차계약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추가서류가 필요하니 확인 후 신청 시 준비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현재 주거급여를 받고 있는데 청년월세지원 중복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 주거급여와 청년월세지원은 중복하여 지원하지 않습니다. 
  • 단, 주거급여 수급자의 경우에도 실제 받는 금액이 20만 원 미만이라면 차액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이혼 후 따로 살고 있어도 두 분의 소득 확인이 필요한가요?

 

  • 부모님이 이혼하셨거나, 별거하시는 가구의 경우에도 청년을 중심으로 가족관계증명서에 표시되는 부모님들 모두 포함하여 원가구의 소득을 확인합니다  ( 부모님이 이혼 후 각자 가정을 꾸리고 계셔도 원가구는 3인가구로 책정됨)

 

배우자/형제/친구와 함께 살면서 보증금과 월세를 나눠 분담하고 있는데 지원이 되나요?

 

  • 가족의 경우 청년 2인 이상이 동일한 주택에 함께 거주하면 가구당 1명에게만 지원이 되며 계약자 - 세대주 - 그 외 의 순서로 우선권이 부여됩니다. 
  • 가족이 아닌 경우 청년 다수가 공동임차인으로 계약을 하였으면 각각 지원대상에 포함이 됩니다. 
  • 계약서에 명시된 지분대로 개인별로 보증금과 월세를 나누며, 명세되지 않는다면 총액을 인원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예시 - 보증금 1억에 월세 100만 원  6:4로 명시일 때 보증금 6천, 월세 60 / 보증금 4천, 월세 40으로 1명은 지원대상 제외, 지분이 명시되지 않을 시 각각 보증금 5천, 월세 50만 원으로 2명 모두 지원대상포함)

 

기준중위소득은 2023년도에 변경됐는데 23년도에 신청하는 사람의 기준은 어디에 적용하나요?

 

  • 22년도에 신청한 사람은 22년도 중위소득 금액으로 23년도 신청자는 23년도 중위소득 금액으로 적용함

 

청년월세특별지원에 대하여 알아 보았는데요 요건에 충족하시고 혜택을 받지 못한 분이 있으시다면 올 해 8월까지 신청이 가능하니 서둘러 신청하시어 지원을 받아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최대 월20만원이 1년받으면 240만원으로 적은 금액도 아니고 이렇게 저소득 청년들에게 혜택을 주어 사회에 빠르게 적응 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해주니 힘든 시기를 격고 계시는 청년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그럼 다음 더 좋은 포스팅으로 돌아 오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가입조건 중복가입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 신청 가입조건 중복가입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 신청 가입조건 중복가입 신청방법 매달(매월 70만원 한도) 일정한 금액을 납부하면 정부 지원금과 은행 이자를 더한 금액을 만기 시 수령할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가 6월 중 출시한

rigkgkt.tistory.com